![]() |
제목 | 중소기업 정책의 새 방향 |
---|---|---|
저자(역자) | 김승일 | |
발행일 | 2017.06.29 | |
소개 | 중소벤처기업부는 개별 기업을 직접 지원하는 역할보다는, 중소기업 친화적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소통자로의 역할에 역점을 두어야 합니다.이를 위하여, 요소시장 발전을 촉진해야 하며 중소기업 정책 목표를 재설계 해야 합니다. |
■ 중소벤처기업부-시혜적 지원자에서 경제정책 전반의 소통자로
개별 기업 직접 지원에서 생태계 조성 중심으로
중소기업 친화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소통자(communicator) 역할이 중요
■ 요소 시장 발전을 통한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
시장을 대체하는 중소기업 지원방식의 문제
서비스 산업(요소 시장) 발전을 촉진
■ 중소기업 정책 목표의 재설계
대상별 정책 목표의 명확화
중소기업 성장을 통한 고용 창츨
NO. | 제 목 | ![]() | 저자 | 발행일자 |
---|---|---|---|---|
6 | 노사분규가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마지현 / 2020.07.07 ![]() |
![]() | ||
5 | 근로시간 단축이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마지현 / 2019.06.04 ![]() |
![]() | ||
4 | 자동화와 고령층 일자리 유한나 / 2019.03.12 ![]() |
![]() | ||
3 | 해외사례를 통한 카드수수료 인하 영향 분석 한원석 / 2018.12.03 ![]() |
![]() | ||
2 |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핵심인력 현황 및 개선방향 -새로운 분석지표를 중심으로- 유한나 / 2018.02.23 ![]() |
![]() | ||
# | 중소기업 정책의 새 방향 김승일 / 2017.06.2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