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제로 연간 약 4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고 국내총생산(GDP)이 10조원 이상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52시간을 넘겨 장시간 일해도 소득이 늘어나면 국민의 직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민간연구기관인 재단법인 파이터치연구원 김재현 연구위원이 내놓은 ‘주 52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를 실시할 경우 연간 일자리가 40만1천개, 총 임금소득이 5조6천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실질 GDP가 10조7천억원, 소비가 5조5천억원, 투자 1조8천억원, 기업 수 7만7천개 가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재현 연구위원은 근로시간 단축시 연간 23만5천개의 숙련공(비반복적 노동) 일자리가 감소한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 숙련공 일자리가 크게 감소하는 이유는 숙련공은 부족한 근로시간을 단기간에 신규 고용으로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근로시간 제한시 자동화에 의해 비숙련공의 일자리가 기계로 대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부연했다.
(중략)
김 연구위원은 “주 52시간 근무제의 재검토가 어렵다면 해외 선진국과 같이 탄력근무제의 단위기간을 최대 1년까지 늘려 기업의 부담을 완화시켜야 한다”며 “다만 탄력근무제는 데이터센터나 응급센터와 같이 상시 긴 노동시간이 필요한 업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업무 특성을 고려한 근로시간 단축의 예외를 허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파이터치연구원은 제4차산업혁명 관련 경제정책과 공정경쟁 관련 정책을 연구하기위해 기획재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487 | 탄력근무제 국민경제에 어떠한 영향 미칠까 운영자 / 2019.04.01 |
||
486 | [월간중앙 정치 포커스]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 팩트체크 운영자 / 2019.04.01 |
||
485 | `우리원격평생교육원` "사회복지사가 ‘노인’ 유망직업인 이유?" 운영자 / 2019.03.28 |
||
484 | 근로시간 단축 분위기…직장인들 “얇아지는 지갑 뭘로 메우나?” [일상톡톡 플러스] 운영자 / 2019.03.27 |
||
483 | 카드수수료 인하, 소비자계도 "소비자 피해 전가 우려" 운영자 / 2019.03.26 |
||
482 | "카드수수료 개편, 최저임금 부작용 막기 위한 과도한 시장개입" 운영자 / 2019.03.26 |
||
481 | “업종·규모별 지불능력 제각각…현행 고수 땐 영세업종 감원 불보듯” 운영자 / 2019.03.26 |
||
480 | [기고] 민간서비스를 공공재로? 제로페이 문제는 따로 있다 운영자 / 2019.03.25 |
||
479 | "최저임금 규모별 구분적용 위한 법적 기반 마련해 달라" 운영자 / 2019.03.20 |
||
478 | 최저임금 규모별 구분적용 3월 입법 촉구 운영자 / 2019.03.20 |
||
477 | 중기중앙회 “최저임금, 규모별 구분 적용” 호소 운영자 / 2019.03.20 |
||
476 | 중기중앙회, 최저임금 규모별 구분적용 3월 입법 촉구 운영자 / 2019.03.20 |
||
475 | 한계기업군 소상공인 보호대책 필요하다 운영자 / 2019.03.20 |
||
474 | 중기중앙회 “최저임금, 규모별 구분 적용해야” 3월 입법 촉구 운영자 / 2019.03.20 |
||
473 | "최저임금 구분적용, 3월 국회서 다뤄져야" 운영자 / 2019.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