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에 안 뺏기는 노인 일자리 12개

운영자 ( 2019.03.12) , 조회수 : 1,754       ▶▶ 아시아경제 (바로가기)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80대 초반의 이발사 이종완씨는 10대 때부터 어깨너머로 배워 20대에 취득한 이발사 자격증으로 지금도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터인 대전 동구 소제동 대창이용원은 문을 연 이후 50년 넘게 가위 소리가 끊이질 않고 있다. 


올해 1월 기준 60세 이상 실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13만9000명(76.9%)이나 급증한 통계청의 보고서와는 먼 얘기다. 이에 견줘 노년층의 대표적 일자리인 경비ㆍ청소업 등이 속한 '사업시설관리ㆍ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취업자는 2017년 137만4000명에서 지난해 131만1000명으로 1년 새 6만3000명이나 줄었다.


12일 파이터치연구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 국가의 고용 데이터(2011~2017년)를 활용ㆍ분석한 '자동화와 고령층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경비ㆍ청소와 같이 반복적이고 육체적인 단순한 일은 자동화를 촉진해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발사나 미용사, 숲 해설가, 사회복지사 등 비(非)반복적인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자동화에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2000년에서 2017년까지 한국의 고령자 비중 변화율은 11.6%로 OECD 평균인 7.9%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독일의 고령자 비중 증가율은 9.6%, 일본 6.2%, 스웨덴은 겨우 4.0%에 불과하다. 201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고령자 2명 중 1명(46.7%)은 청소ㆍ경비ㆍ배달ㆍ포장 등 반복적이고 단순한 육체적 업무를 하고 있다. 자동화 시대 고령층에 적합하다고 분석된 비반복적 육체노동 분야에서는 22.1%로 반복적 육체노동(46.7%)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437 자동화 시대, 노인 일자리가 위협받는다
운영자 / 2019.03.12
키뉴스 2019.03.12
# 로봇에 안 뺏기는 노인 일자리 12개
운영자 / 2019.03.12
아시아경제 2019.03.12
435 “‘자동화’로 대체되는 고령층 일자리 47%”
운영자 / 2019.03.12
아주경제 2019.03.12
434 `신용카드 소득공제 축소`가 꼼수인 이유
운영자 / 2019.03.12
뉴데일리 2019.03.12
433 [사설] 최악 청년실업 속 미래산업은 구인난, 대학이 바뀌어야 한다
운영자 / 2019.03.11
매일경제 2019.03.11
432 고달픈 하위층… 작년 1~4분기 소득, 60분기중 꼴찌서 1~4등
운영자 / 2019.03.05
문화일보 2019.03.05
431 [가업상속 공제기준 완화]공제한도도 1,000억…장수기업 족쇄 풀려
운영자 / 2019.03.04
서울경제 2019.03.04
430 대형마트, 카드 청구할인 혜택 해지 초강수 검토
운영자 / 2019.02.25
전자신문 2019.02.25
429 [기고] ‘주 52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보고서
운영자 / 2019.02.25
주간조선 2019.02.25
428 “주 52시간제→일자리 40만개 줄어”
운영자 / 2019.02.21
광주매일신문 2019.02.21
427 "가업승계 대상 `매출 1조`로 확대땐 매출 52조원·고용 1770명 늘어날것"
운영자 / 2019.02.21
매일경제 2019.02.21
426 "가업상속공제 확대땐 매출·고용 증가"
운영자 / 2019.02.21
한국경제 2019.02.21
425 주 52시간 근무제 일자리 40만개 감소 `직격탄`
운영자 / 2019.02.21
전남매일 2019.02.21
424 "가업상속공제 대상 매출 1조로 늘리면 20년간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1
파이낸셜뉴스 2019.02.21
423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 확대시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MoneyS 2019.02.20